목록분류 전체보기 (724)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컴사는 웹이 좋습니다 ^^ (이전 CGI with comlover를 운영하기 전 부터 그랬지만)
Opera Widget이 궁금해서 Opera 브라우저를 설치했다.지금 이 글을 오페라로 쓰고 있는데, (태터가 표준을 잘 준수해서 만든 탓이겠지만) 큰 문제없이 쓰고 있다. (차이점은 밑에)그래서, 내 컴퓨터에도 IE(그리고 그외 Webma 등의 멀티탭 브라우저), Firefox, Opera 등이 설치되었구나.@ 결국 IE로 글을 마무리 지었다. ㅡㅡ; (태그 미리보기를 해서 입력하고 싶었는데 말이지 ㅠㅠ)* 오페라로 글을 쓸 때, IE와 다른 점 *위지윅 에디터에서 "하이퍼링크"를 추가할 때, 주소를 입력받는 창이 안 뜨고 링크 태그가 바로 화면에 표시된다.위지윅 에디터에서 bullet을 삽입하는 것도 HTML 태그로 바로 표시된다.태그(글 쓰기 아래에 있는 것) 미리보기가 지원되지 않는다.
예전에 ㅂㅂ님이 추천한 책이었는데(관련글), 그동안 도서 요약 서비스를 통해서 읽다가 최근 책을 빌려서 읽었다.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현대 일본 최고의 저널리스트 다치바다 다카시의 강연 및 잡지 원고 중에서 '책'을 주제로 한 글을 모았다. 그의 독설론, 독서설, 서재론을 담고 있어 장서가나 애서가들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하다. 특히 '고양이 빌딩'으로 알려진 다카시의 3층 서가를 구경하는 재미가 여간한 게 아니다. (양장본) 일본에서 엄청나게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인 다치바나 다카시의 책 두권을 섞어서 번역한 것이다. 전체적인 느낌으로는, 일본에 대한 이야기가 많아서 조금 어려운 점도 있고 (굳이 이해할 필요는 없는 것들이지..
컴사가 최근 메모와 생각(사고)에 대한 책을 많이 읽다보니, (어떻게 보면 자연스럽게) 마인드맵(mindmap)에 까지 관심이 갔다. 컴사는 마인드맵에 대해서 아는 것이 아나도 없는 관계로 간단하게 또 관련 책 하나 읽었고, 읽고나니 컴퓨터로 마인드맵을 그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ㅂㅂ님이 추천해준 freemind 란 것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freemind는 mindmap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일반 사용자에게는 크게 관심이 없겠지만 자바로 구현된 오픈소스이다. 컴사가 써보니 다른 오픈소스 mindmap 프로그램보다 괜찮은 것 같다. 한글도 잘 지원하고 인터페이스도 어렵지 않다. 아래는 컴사가 다른 책을 읽고 한 챕터를 요약해 본 것이다. (참고로 이상하다고 욕하시..
현재, 각 게시물 마다, tag 와 category로 각 글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관련된 것 끼리 묶고 있지만, 조금 더 새로운 방식을 생각 중이다. 이는 다른 곳을 사용하여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에 썼던 글들을 분류를 하고, 모든 관련글에는 그 페이지로 링크를 걸어두려 한다. 추후에라도 그 분류에 해당하는 새로운 글이 추가되면, 그 페이지만 수정하면, 기존의 모든 글들이 수정된 내용의 링크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이라면 2번의 링크를 따라가야 한다는 점. 같은 글도 링크를 하고 있다는 점 정도?) 곧, 이런 방식으로 글을 쓰려고 한다. (하지만 아직 글이 많이 부족하여, 제대로된 분류화가 가능할 지 모르겠다.)
요즘 컴사가 읽고 있는 책은 Creative Thinking 과 로지컬 씽킹 이다(제목 자체가 영어와 한글이다. ) Creative Thinking - 세상을 보는 글들 9 로저 본 외흐 지음, 정주연 옮김 저자는 우리 모두가 창의력을 타고났고 말하며, 우리의 창의력을 가두는 정신적 감옥에서 탈출하라고 말한다. 이 책은 이러한 정신적 감옥에서 탈출하는 방법, 즉 창조력을 증진시켜주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로지컬 씽킹 - 맥킨지식 논리적 사고와 구성의 기술 테루야 하나코 & 오카다 게이코 지음, 김영철 옮김 현직 맥킨지 에디터가 커뮤니케이션을 단순한 테크닉이나 재주가 아니라 전달이라는 것을 하나의 과학적 방법으로 파악하고, 맥킨지의 MECE와 So What? / Why So?을 구체적으로 학습하며..
컴사랑이 최근에 읽은 책은 알랭 드 보통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이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이 책은 자기 스스로는 특별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남들과 전혀 다르지 않은 '사랑'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다. 등을 통해 철학의 대중화를 위해 애써온 지은이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분석적이고 철학적인 시선으로 응시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원래 제목인 Essays in Love 가 훨씬 더 좋은 것 같다. (참고로 그건 영국판 제목이고, 미국판 제목은 On Love 이다.) 저자는 다양한 철학적 지식등을 바탕으로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는데, 아주 약간을 제외하고는 전혀 어렵지가 않다. 읽다보면 대부분 공감할 내용들이다. 컴사의 생각으로는..
개인적으로 컴사가 블로그에서 좋다 나쁘다 라는 판단을 직접 내리기 보다는 그냥 최대한 알려주는 정도, 이런 것들이 있다 라고 나열해 주는 정도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려고 하였다. (물론 꼭 그렇게 되진 않았지만) 하지만, 오늘 한 번 더 어겨야 겠다 ㅠㅠ 영화 다세포 소녀...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자 한 것인지 모르겠다. 돈과 시간이 아까웠다 ㅠㅠ 원작과 얼마나 비슷한가를 체크하려고 했는데, 중간 중간 에피소드는 비슷하지만 많이 다른 것 같다. 쩝. *참고* 영화 다세포소녀, 전문가-네티즌 평점 '괴리'(디시뉴스)
으흠 얼마 전에, nyams 님이 이야기 해주셨던 것이고, 그 외 다수의 분들이 동의를 한 내용이다. 내가 글을 쓸 때, 주로 "컴사는", "컴사가" 등의 표현을 많이 쓰는데, 어색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컴사의 읽었던 책 다시 읽기 운동에 의해서 요즘 다시 읽고 있는 책은 바로 "메모의 기술" 이다. (메모의 기술 중에서)컴사는 꽤 판타지를 좋아한다 (나이아 연대기 중에서) 등등이 있겠다. (사실 대부분의 글이 이렇다.) 으흠. 정말 이상한가? 하지만, 나름대로의 스타일인 것을. 별로 고쳐질 것 같지는 않다 ^^ (nyams 이하 같이 계셨던 분들께 죄송 ^^ 하지만 이 글은 그렇게 안 썼다는 것!)
요즘 네임택 많이들 사용하는 것 같은데, 네임택을 만들어 주는 곳을 정리해 봤습니다. 참고로 네임택이라 함은, 와 같은 것을 말합니다. 티티이미지네임택 : 국내 사이트 답게, 국내의 다양한 메일 사이트와 호스트를 지원합니다. 색상들을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EMail Icon Generator : 여긴 외국 사이트로, 외국의 다양한 메일 사이트를 지원합니다.이메일 주소 이미지 만들기 : 역시 국내 사이트 입니다. (2006.08.07 추가) 네임택의 장점은 아무래도 이메일 주소가 이미지로 나타나다 보니, 봇들을 통한 이메일 수집이 어려운 게 아닐까 싶습니다. 또한 이쁘기도 하구요. 참고로, 네이버에서는 이미 자체 네임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