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끄적거림
- Outlook
- 독서
- 메모
- e-book
- Toss
- Windows Live
- 킨들
- 독서법
- 리디 페이퍼
- 아웃룩
- ebook
- 샘
- 토스
- 티스토리
- 전자책
- hotmail
- Windows Search
- 신용카드
- 웹2.0
- 구글
- 책
- 그랩
- 핫메일
- 여행
- 리디북스
- Visual Studio
- 크롬
- 영화
- Today
- 111
- Total
- 1,825,704
목록개발/데이터 분석 (2)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어제 (2018/09/04) 카카오의 개발자 컨퍼런스인 if kakao 에 다녀왔습니다. 카카오의 개발자 컨퍼런스는 올해가 처음인데요, 처음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오셨더라구요. 역시 카카오인가 싶었습니다.그런데 처음이라 그런지 약간 아쉬운 부분도 있었습니다. 다른 분들이 좋은 이야기를 많이 적어주셨을 것 같아서, 저는 조금 아쉬운 부분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가장 먼저 저를 괴롭혔던 부분은 화살표입니다. 아마 자바의 람다(Lambda) 식과 유사하게 표현하려고 한 것 같은데,처음 행사 장소인 코엑스에 도착해서 카카오 컨퍼런스가 나오기에 반가웠는데,화살표를 보고 고민했어요. 마치 나보고 오른쪽으로 가라고 하는 것 같지 않나요?그죠? 그런데 사실 왼쪽으로 갔었어야 했다는 사실! 이건 나중에 행사를 보다..
오늘 "구글 파이어베이스를 이용한 손쉬운 모바일 앱 개발과 빅데이터 분석" 행사에 다녀 왔습니다. 파이어베이스(firebase) 및 구글 빅쿼리(BigQuery)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사실 저는 정말 운이 좋겠도, 데이터 분석에 구글 BigQuery와 아마존의 RedShift를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물론 간혹 Spark도 씁니다). 둘 다 SQL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죠. 구글 BigQuery는 정말 정말 빠릅니다. 그리고 그 성능에 비해서 비용은 정말 쌉니다. 엄청난 장점이죠. 하지만 단점은 query당 과금입니다. 그래서 겁나서 함부로 query를 실행할 수 없어요. RedShift는 RedShift를 실행시킨 시간 당 과금입니다. RedShift도 빠릅니다. 하지만 BigQuery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