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724)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본인의 도메인을 사용해서 일종의 이메일 호스팅을 하는 곳이 몇군데 있습니다. 제가 아는 것은 구글메일, MS의 Live, AOL 이 있네요 국내에서도 파란에서 Open Mail 이란 이름으로 같은 서비스를 하네요 다만 계정당 용량은 1G라서 조금 다른 곳에 비해서 작아보입니다. (하지만 POP3를 지원합니다)
MS의 silverlight를 아시나요? Siliverlight의 opensource 유닉스용인 moonlight가 공개되었습니다. http://www.go-mono.com/moonlight/ MS가 mono와 협력으로 만들었다고 하네요. 참고로 mono는 C#의 open source implementation을 하고 있는 곳입니다.
혹시 모바일 쪽에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브라우저는 아시는가요? 잘은 모르지만 컴사가 알기로는 Opera Browser 입니다. (국내에는 없어요. 제가 알기로는) 이 Opera Mini를 PC Browser로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 : Opera Mini as a PC Browser (big screen) 컴사가 테스트 해봤는데요, 기본적으로 처음은 동작하는데, 회사 PC에서는 방화벽 때문인지 잘 안됩니다. 다른 글을 봤을 때는 방화벽이 없는 상황이라면 잘 될 것 같네요. (댓글 중에 방화벽일 때는 어떻게 하라고 하는 부분이 있긴 한데, 도통 거기까지 조차를 못 가는 것 같네요.) @ 여담이지만, 구글 android에 Opera mini가 포팅되었었습니다. (관련글)
전에 컴사가 잠깐 블랙베리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는데요, 그 블랙베리가 8월에 국내 출시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 참고) 하지만 아쉬운 것은 SKT에서 출시할 예정이라는 것 ㅠㅠ (즉, 컴사는 SKT 고객이 아닙니다 ㅠㅠ) 참고로 SKT는 노키아도 검토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것도 꽤나 기쁜 일이에요... (아마도 기기 제한을 풀어주면 더욱 기쁠 것 같은데 말이죠. ㅡㅡ;) 또 어디에선가는 아이폰(iPhone)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문도 돌더군요. (아마도 KTF가 아닐까 싶습니다만) 그것과는 별개로 위의 관련기사를 보면 위피가 약간 논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유는 국내에서 발매되는 휴대폰은 위피라는 플랫폼을 꼭 탑재를 해야 하는데요 이 위피라는 것이 국내에서 재정된 표준입니다. 해외의 단말기들..
컴사는 업무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RSS를 많이 쓴다. 최신 정보가 알아서 자동으로 오니 정말 편하고 좋다. (메일링 리스트로도 받을수도 있겠지만 컴사는 이메일이 쌓이는 것은 좀 싫어한다 ㅡㅡ;) 모든 정보가 다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RSS당 일주일에 한건 정도의 괜찮은 정보는 생긴다. 개인적으로 한RSS(hanrss)를 자주 애용하는편인데 몇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한RSS를 이용함에 있어서 가장 아쉬운 점은 각 RSS당 저장되는 글 수가 100개라는 것이다. 다음으로 아쉬운 것이 검색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100개의 글은 정말 작은 글이다. 유명한 곳은 하루에도 수십편의 글이 올라오기 때문이다. 또한 검색도... 컴사가 받고 있는 feed 중에서 검색해주면 좋은데 그렇지 않다. 전체를 ..
vim 설정을 위한 .vimrc set nu syntax on set autoindent set smartindent set ts=4 set nobackup filetype on 사실 요즘 xterm을 쓰는 사람은 드물겠지만 (보통 gnome-terminal 등을 사용하지 않을까?) 간혹 속도등의 이유로 xterm을 쓰는 경우를 위하여~ (.Xdefaults 파일) xterm*foregroud:gray10 xterm*background:gray70 (신기한 것은 xterm을 띄울 때 xterm -bg gray10 -fg gray70은 괜찮은데 .Xdefaults를 수정해서 그냥 띄우면 이상하게 뜬다 ㅡㅡ;)
사실 컴사도 이런 일을 잘해서 여기 적는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잘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 책을 다 읽고 나면, 책을 바로 덮지 마세요... 차례로 가서... 차례를 쭈욱 훓어 봅니다... 그래서 각 차례에 나오는 제목들이 어떤 내용이었는지 기억을 해보는 것입니다. 잘 모르겠으면, 다시 그 부분을 대충 읽으셔도 되어요. (지금 해당 책이 없어서 (반쯤 기억으로 덤프된) 가상으로 예를 들어 보면) 1장은 메모를 왜 해야 하는가를 나타내는구나. 2장은 무엇을 메모할 수 있는가를 3장은 어떻게 메모를 해야 하는가를 4장은 고급 메모 기법(?) 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구나. 와 같이 정리를 해보는 것입니다. 어때요? 쉽죠?
얼마전에 네이버에서 오늘의 책 리뷰어를 모집하였다. 컴사도 들고 싶어서 지원서는 다 써두고, 책을 읽고 리뷰를 쓰면 되었다. 아쉽겠도, 리뷰를 써야 할 책 중 컴사랑이 가진 책이 없어서 꾸물되다가, 시기를 놓쳤다. 오늘 혹시나 싶어 해당 페이지에 접속을 했더니 모집기간이 4월 7일까지였다 아 슬퍼 ㅠㅠ
오랫만에 책에 대한 글을 쓰는 것 같다. 컴사는 올해의 약속 중에 "매월 나를 위하여 책을 사자" 라는 목표가 있다. 참고로, 컴사에게 거의 매월 책을 사주는 친구도 있고, 비정기적으로 책을 사주는 친구도 있는데, 항상 고마워 하고 있다 ^^ 암튼 매월 책을 사는 것은 나름대로 잘 지키고 있다. 보통 매월 말에 사는데, 아직 2월에 샀던 책은 다 읽었는데, 3월에 산 책 중 한권은 금방 다 읽었다. 그 책은 재테크 관련된 책으로, 제목은 "자동으로 부자되기" 이다. 자동으로 부자되기 - 아무리 아껴도 돈이 모이지 않는 사람을 위한 데이비드 바크 지음, 김시현 옮김 무심코 지출하는 푼돈을 뜻하는 신조어 '라테 요인(Latte Factor)'을 전 세계에 유행시킨 데이비드 바크의 책. 번 것보다 적게 쓰고 ..
요즘 컴사랑에게서 이쁜 문자를 받은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 이는 다 컴사가 KTF 톡톡 체험단에 선발되어서 인데요... 무료로 MMS를 월 300건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각종 MMS와 메시지콘을 보내봤습니다. 일단 SKT는 잘 모르겠지만 (비슷한게 있겠지요?) KTF에서는 MMS를 바로 네이버 블로그와 싸이 미니홈피로 보낼 수 있습니다. (아쉽게 이건 해보진 못했어요.) 이건 좋은 것 같아요. 블로깅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지 않겠어요 ^^ (컴사는 설치형 블로그라 ^^) 그리고 요즘은 메시지콘을 많이 쓰는데요, 이건 정말 좋은 것 같아요. 문자에 이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사실 이 녀석은 MMS는 아니구요, 처리 중에는 LMS(장문)으로 처리됩니다. 그러나, 톡톡체험단에게는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