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24)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컴사가 처음 인터넷을 접했던 때가, 1995년 2월로 기억이 됩니다. 그 때 컴사는 인터넷을 잘 몰랐지만 "마이컴" 이란 잡지를 보면서 그냥 따라 할 때였지요, 그때 저는 대부분을 유닉스로 접근하여서 하였는데, 제일 많이 썼던 서비스는 쉘 접근을 위한 telnet 과 (그리고 비슷하게, 아라BBS니 바다 BBS 등에 접속했고, 머드에도 접속했었죠 ^^)파일 전송을 위한 ftp 였습니다.email도 전송하곤 하였는데, 컴사는 주로 elm을 썼었구 나중에는 pine도 조금 썼었지요.물론 그외에도 gopher니 archie니 하는 서비스도 있었습니다. 아 물론 웹도 있었지요. 그 때 컴사는 Solaris에서 모자익을 썼었는데, 한글도 제대로 안 보이는 경우도 많은 그런 시절이었지요. 겨우, html 조금 아는..
전에 컴사가,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를 위한 버전 관리 using CVS"를 소개해 드린 적이 있는데, 이번에 소개해 드릴 책은 유닛 테스트(단위 테스트)에 대한 책이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를 위한 단위 테스트 with JUnit 데이비드 토머스 외 지음, 이용원 외 옮김 '시작 도구 시리즈(Pragmatic Starter Kit)' 두번째 책으로 단위 테스트를 경험하지 못한 개발자가 JUnit으로 단위 테스트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입문서로, 단위 테스트를 쓰면 어떤 점이 좋은지, 단정 메서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등을 실제 예를 통해 보여준다. 앞에서 말한 버전 관리와 함께 실용주의 starter kit에 들어간다. (starter kit에는 또 다른 한권이 더 있는데, 프로젝트 자동화에 대한 책이다). ..
음. 평소 컴사랑은 다른 사람이 어떤 영화를 보던지 별로 상관은 안하지만 "판의 미로"가 순수 판타지라고 생각하고 보려는 사람에게는 말리고 싶다. 판의 미로에는 판타지가 없다. 잔인한 현실만 있을 뿐이다. 어쩌면 그게 감독이 이야기 하고 싶었던 것인지는 모르겠다. 다른 것은 잘 모르겠고, 내가 느끼기에는 판의 미로는 지독한 현실 이야기일 뿐이다. 그래서 순수 판타지를 보고 싶은 분 잔인하거나 징그러운 장면을 싫어하시는 분들은 보지 않기를 권한다.
Flickr에 Windows Vista Wallpaper Pack 이라는 게 있더군요. 정말 이뻐요~ Vista에서는 사운드 뿐만 아니라 이런 것에도 많이 신경 쓴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Microsoft를 아주 좋아하지는 않지만, 새로운 윈도우가 나올 때 마다, 이런 변신은 정말 부럽군요 ^^ 참고로, 전 로 했어요
컴사는 현재 google desktop을 쓰고 있다. 사실 처음 설치할 때는 내 PC의 정보를 색인화하기 위해서 였지만(특히, 아웃룩. 아웃룩의 검색은 상당히 불편했다.), 지금은 google gadget도 함께 사용한다. 그러다가, gadget(또는 widget) 사용에 대해서 네이버 데스크톱이 생각나서 검색해 봤는데, 네이버 데스크톱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는 것 같다. (아직 설치는 안해봤다 ㅠㅠ) 네이버 데스크톱이 더 이쁘다네이버 데스크톱이 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것 같다. (정보가 국내 정보 ^^)물론 네이버 데스크톱의 단점도 있다.오픈된 API로 개짓(넘 발음이 좀 그런가 가젯, 또는 위젯)을 개발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아직 서비스가 안정화 된 것 같지는 않다. 음. 그래서 현재 생각은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