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25)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얼마 전에 썼던 존 스튜어트 밀의 독서법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 EBS에 나왔습니다. 우연히 채널을 돌리다가 멈추게 되었는데요...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5부입니다. 그 방송 중에 미국 세인트존스 대학(St John's College) 사례가 나오는데요, 학생들이 4년동안 인문 고전을 읽고 토론을 하면 성장을 한다라는 바로 존 스튜어트 밀의 독서법이죠. 그래서 저도 어떤 책들인지 궁금해서 검색을 좀 해봤습니다. 책 리스트가 이렇게 나오네요.일단 영어 제목 그대로 옮겨 적었는데요. 살짝 보니 대부분의 책들은 번역이 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근데 여기서 조금 고민이 되는 것이 두가지가 있습니다.서양 위주의 교육이다(그들 입장에서는 당연하겠지만, 우리가 적용하기에는 동양 고전도 필요하지 않을까?)원서로 ..
maven, gradle과 같은 빌드 관리 도구들이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은데, dependency 설정도 간편하여 classpath에 대한 설정 지옥(?)에서 해방되어 정말 편한 것 같다. 하지만 proxy 환경에서라면 proxy 에 대한 설정을 해줘야 한다. 먼저, maven은 사용자 홈디렉토리의 .m2(윈도우라면 c:\Users\(아이디)\.m2) 폴더 내의 setting.xml에 설정을 하면 된다. proxy 부분만 설정하면 된다. myproxy true http (Proxy서버) (Proxy서버 포트) localhost,127.0.0.1 Gradle은 사용자 홈디렉토리의 .gradle(윈도우라면 c:\Users\(아이디)\.gradle) 폴더 내의 gradle.properties 파일에..
요즘 뭔가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뜸해서, 뭔가를 배워 보기로 했습니다. 그리하여 선택한 것이... 예전부터 한번 배워보고 싶었던 Rails 입니다. 사실 요즘은 Play! (play framework)이 좀 많이 hot한 것 같긴 합니다만... 예전부터 배워보고 싶었던 지라 한번 선택해봤습니다. 책도 살까 싶었지만 일단 좀 찾아보니... 썩 마음에 드는 것은 없어서 일단은 Rails Tutorail을 통해서 배우고 있습니다.http://ruby.railstutorial.org/ruby-on-rails-tutorial-book 조금 불편한 점도 있지만... 웹에서 바로 책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게다가, Rails의 내용만 있는게 아니라, 관련된 웹 개발 환경도 함께 배울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
예전에 MIT의 알고리즘 오픈 강좌에 대해서 설명 드린 적이 있습니다. 최근에 국내의 오픈 코스웨어에 대해서 찾다보니, 아직 국내는 좀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 과목 전체가 올라왔으면 하는데요. 주로 introduction 위주로 많이 올라와 있는 것 같더라구요. 아무래도 교수님들도 자신의 강의가 쉽게 공개되는 것에 대해서 동의를 못하실 수 있다는 생각도 들구요. 하지만 교양강좌 같은 것이 많이 올라와 있는 것은 긍정적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국내에서 잘 되어 있는 사이트가 있더군요. 바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KOCW란 곳입니다.http://www.kocw.net/home/index.do 다양한 학교의 다양한 과목에 대해서 올라와 있습니다. 실제 과목에 대해서는 전 수업이 다 올라와..
오늘 존 스튜어트 밀 식 독서법이란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존 스튜어트 밀 하면 일단 떠 오르는 것은 "공리주의" 밖에 없네요. 하지만 독서로도 유명했나 봅니다. 좀 찾아보니, 아버지 제임스 밀에게 독서 교육을 받는데, 천재 사상가들의 책을 읽고 이를 소화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존은 저학년때 부터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등의 책을 읽고 다음 날 아버지와 토론을 했다고 하네요. 저야 그런 사람들 이야기는 도덕교과서나 다른 책에 언급된 내용만 알고 있지 실제로 그런 분들의 책을 읽을 시도도 안해봤었는데 말이죠. 게다가 그런 내용을 소화를 하려면 얼마나 많이 읽어야 하겠습니까? 대단하다는 생각도 드네요. 하지만 저도 한번 해보고 싶긴 합니다. 문제는 그럼 어떤 책을 읽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