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핫메일
- 리디 페이퍼
- YES24
- 그랩
- 리디북스
- 독서법
- 신용카드
- 크롬
- 토스
- 영화
- hotmail
- Outlook
- ebook
- 아웃룩
- 독서
- 메모
- 샘
- 전자책
- Toss
- Windows Live
- Visual Studio
- 킨들
- e-book
- 티스토리
- 끄적거림
- 웹2.0
- Windows Search
- 구글
- 책
- Today
- 17
- Total
- 1,646,218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Maven, Gradle proxy 설정하기 본문
maven, gradle과 같은 빌드 관리 도구들이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은데, dependency 설정도 간편하여 classpath에 대한 설정 지옥(?)에서 해방되어 정말 편한 것 같다.
하지만 proxy 환경에서라면 proxy 에 대한 설정을 해줘야 한다.
먼저, maven은 사용자 홈디렉토리의 .m2(윈도우라면 c:\Users\(아이디)\.m2) 폴더 내의 setting.xml에 설정을 하면 된다.
proxy 부분만 설정하면 된다.
<proxies>
<proxy>
<id>myproxy</id>
<active>true</active>
<protocol>http</protocol>
<host>(Proxy서버)</host>
<port>(Proxy서버 포트)</port>
<username></username>
<password></password>
<nonProxyHosts>localhost,127.0.0.1</nonProxyHosts>
</proxy>
</proxies>
Gradle은 사용자 홈디렉토리의 .gradle(윈도우라면 c:\Users\(아이디)\.gradle) 폴더 내의 gradle.properties 파일에 설정을 하면 된다.
systemProp.http.proxyHost=(Proxy서버)
systemProp.http.proxyPort=(Proxy서버 포트)
systemProp.http.proxyUser=
systemProp.http.proxyPassword=
systemProp.http.nonProxyHosts=localhost
또한 IDE 환경에서 Gradle 프로젝트가 인식이 잘 안되거나, 빌드가 잘 안된다면, gradle 이 메모리 부족 등의 이유로 잘 실행이 안되었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gradle의 실행 옵션 설정을 아래처럼 조금 조절해보면 될 수도 있다.
-Xmx768m -Xms512m
'개발 > 웹관련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괜찮아 보이는 웹 개발환경: Visual Studio Code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4) | 2015.08.19 |
---|---|
자바스크립트 함수에 대하여 (0) | 2014.10.29 |
침투적 프레임워크? (0) | 2014.08.29 |
Maven, Gradle proxy 설정하기 (0) | 2014.01.22 |
Ruby on Rails 공부중 (0) | 2013.12.22 |
변화의 증거들 - SaaS, 웹 서비스, RIA (0) | 2006.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