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25)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리디 페이퍼(또는 리디북스 앱)은 샘처럼 파일로 책의 메모를 export 하는 기능은 없어 아쉽지만, 대신에 서버로 싱크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서버 싱크를 더 좋아하겠지만, 저는 그냥 제가 스스로 정리하게 파일로 주는 것이 더 좋아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리디 페이퍼의 설정에서 "독서노트 동기화" 부분을 켜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와이파이가 켜져 있을 때, 보던 책을 나가면 (지금 파악한 바로는 그래요)현재 저장된 메모들이 리디북스 서버로 싱크가 됩니다. (리디 페이퍼) (서버) 편하죠? 다만, 여전히 아쉽게도, 서버에서는 메모를 copy & paste 하는 것을 막아뒀어요.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하지만 마우스 오른쪽 버튼 해제 하는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시면 손쉽게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또는 아..
최근 Visual Studio Code 1.0이 릴리즈 되었습니다.많은 변화가 있지만, 그 중에서 다양한 언어(컴퓨터 언어가 아닌, 실제 언어)를 지원하는 것도 있습니다.덕분에 한글화가 잘 되었지만, 반면 command 마저도 한글로 바뀌어 버리는 문제가 있네요. 그래서 저는 영어로 설정해서 사용했습니다.Visual Studio Code를 영어로 설정하려면,1. 또는 를 눌러 Command Palette를 띄웁니다.2. 아래와 같이 "> 언어 구성" 이라고 입력합니다. ( ">" 도 포함해서 입력해야 합니다) 3. 그러면 아래처럼 기본적으로 영어로 바뀐 셋팅이 바로 됩니다. (en-US가 영어(미국식)입니다) 4. Visual Studio Code를 재부팅합니다.
최근에 이리 저리 R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아직 아는 바도 없고 공부해야 할 것이 많지만, 나름 각종 확장 프로그램 (package)가 많아서 제 입맛대로 맞출 수 있는 방법이 꽤나 많더라구요. 그래서 마음에 들어하면서 이리 저리 써보고 있습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R 관련해서 많은 소프트웨어를 내고 있는데요, 그 중에 2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MRO (Microsoft R Open) 입니다.이건 MS가 다른 회사를 인수한 것 같네요. 원래 CRAN의 R을 수정한 R입니다 (역시 오픈소스라 Open이 붙어 있는 것 같습니다).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Intel의 Math Kernel Library (MKL)을 사용하여 연산이 빨라졌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멀티스레드도..
지난 글 "신용카드 해외 사용 내역 확인하는 법: 청구 금액이 이상해요, DCC인가요 등"에서는 사실 제가 USD만 설명을 드렸습니다.그 외 통화는 사실 제가 일부러 설명을 안 드렸는데요, 저도 좀 불확실한 부분이 있어서 그랬는데,바로 질문을 하시기에 조금 불확실한 부분이 있지만 적어 봅니다. 먼저 역시 삼성 마스터 카드로 태국 바트(THB)로 결제한 건입니다. 제가 사용한 금액은 4450 THB 인데요. 이렇게 USD가 아닌 통화에 대해서는 모두 USD로 환전이 됩니다.그 환전된 가격(브랜드 수수료 1% 포함) 이 137.74 USD라고 하는군요 (접수금액)나머지는 전에 설명한 글과 같습니다. 거기에 다시 국내 카드사의 해외이용수수료 (삼성카드의 경우 0.2%) 가 붙어서 저에게 청구가 됩니다. 다만,..
요즘 저에게 "청구 금액이 이상한데, 혹시 DCC 인가요?"라고 물어보는 경우가 있어서, 해외 사용 내역 확인하는 법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아래는 삼성 마스터 카드로 30.45$ (USD)를 결제한 승인 내역입니다.먼저 제가 쓴 금액은 30.45$ 입니다. (1번)그런데, 제가 쓴 카드는 마스터 카드입니다. 비자나 마스터 카드는 해외 수수료가 1%가 있습니다. (아멕스는 1.4%)30.45$ * 0.01 = 0.30$그래서 2번 금액이 나오는 것입니다. 30.45$ + 0.30$(마스터 카드 수수료) = 30.75$그리고 저에게 환율이 1,202.50원이 적용되었다고 하네요. (이건 좀 있다가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3번)30.75 * 1,202.50 = 36,976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내 카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