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ss (5)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흑 이럴수가, 예전에 fastladder도 종료를 하더니, 이젠 구글리더도 서비스를 접는가 보다. ㅠㅠ이젠 RSS를 어디서 읽나... 구글리더가 참 편하고 좋았는데,요즘은 많은 RSS reader 서비스가 문을 닫고 있어서 정말 아쉽다.
컴사는 업무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RSS를 많이 쓴다. 최신 정보가 알아서 자동으로 오니 정말 편하고 좋다. (메일링 리스트로도 받을수도 있겠지만 컴사는 이메일이 쌓이는 것은 좀 싫어한다 ㅡㅡ;) 모든 정보가 다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RSS당 일주일에 한건 정도의 괜찮은 정보는 생긴다. 개인적으로 한RSS(hanrss)를 자주 애용하는편인데 몇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한RSS를 이용함에 있어서 가장 아쉬운 점은 각 RSS당 저장되는 글 수가 100개라는 것이다. 다음으로 아쉬운 것이 검색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100개의 글은 정말 작은 글이다. 유명한 곳은 하루에도 수십편의 글이 올라오기 때문이다. 또한 검색도... 컴사가 받고 있는 feed 중에서 검색해주면 좋은데 그렇지 않다. 전체를 ..
컴사가 굉장히 고민을 많이 하다가 피드버너를 사용하기로 하였다.먼저, 피드버너가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만. 피드버너는 RSS 트래픽을 분산 시킬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여러 명의 RSS 구독자들이 내 사이트에서 직접 받아가는 대신 오직 피드버너만 나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다른 RSS 구독자는 피드 버너를 통해서 접속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접속자에 대한 통계나 약간의 정보도 얻을 수 있다. 피드 버너는 많은 장점이 있는데도 불고하고 컴사가 망설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컴사의 사이트는 트래픽을 분산 시킬 만큼 트래픽이 많지 않다.컴사가 사용했던 RSS 리더 중에 피드버너를 지원하지 않는 RSS 리더가 있었다. 아무래도 RSS 갱신이 조금 느려지지 않을까?2번째 이유가 조금 더 큰데, 피더버너를 지원하지..
RSS리더라고 아시는가? Aggregator라고도 불리는데, 여러 블로그나 위키, 게시판 등에서 제공하는 RSS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프로그램이다. (뭐 실제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도록 만드는 단점도 있다. ^^) 요즘 컴사는 웹RSS 리더에 관심이 많다. (사실 RSS리더 자체에 관심이 있는데, 잠시 웹쪽에 중점을 두고 있다) 클라이언트용 RSS 리더로 fish를 쓰고 있지만, 다른 장소에서 인터넷을 쓰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이다. 컴사가 알고 있는 웹RSS 리더는 다음과 같다. 한RSS : 국내 유명 RSSbloglines 외국의 유명한RSS다음 RSS넷 (로긴 필요한 링크) : 다음에서 제공하는 RSS. 포탈치고는 상당히 먼저 시작되었다.개인적으로, 웹RSS는 PC용 RSS 보다 ..
컴사는 그동안 RSS 리더로 위즈캣을 써왔었다. 위즈캣은 RSS 이외에도 멀티탭 브라우저, 웹메일 클라이언트, 뉴스 리더, RSS리더 등 정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결정적으로 feedburner의 것을 읽어오지 못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fish로 바꾸었다. 어쨌거나 가장 불편했던 것이 해결되어서 괜찮긴 한데, RSS 주소 옮기는 것도 일이군. 이런 것도 공통적인 포맷으로 export/import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혹시 있는지도 모르겠다.) 참고로, feedburner의 장점과 태터에 적용하는 것은 태터툴즈 FeedBurner 플러그인, RSS 구독자 통계 를 참고하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