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mail (5)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gmail의 경우 메일을 archive (보관)할 수 있는 장점(또는 단점?)이 있습니다.메일을 삭제하면 더 이상 해당 메일을 찾을 수 없지만,보관 시켜두면, 검색하면 나오지만 평상시에는 그 메일을 볼 수 없습니다. 그런데, 간혹 보관된 편지만 봐야할 일이 있습니다.이럴 경우 gmail의 검색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has:nouserlabels -in:Sent -in:Chat -in:Draft -in:Inbox -in:Inbox는 인박스(받은 편지함)은 제외하고 입니다. 그러니까, 특정 시스템이 만든 레이블(inbox나 Draft(임시))을 제외하고, 게다가 사용자가 별도로 레이블을 주지 않은 폴더 = 보관(archive)된 편지 입니다. 보관의 기본 원리가 아무런 레이블이 없는 것이거든요...
gmail은 여러가지 편리한 기능이 많지만, 그 중의 하나가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각 메일을 eml로 저장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방법은, 먼저 저장하려고 하는 메일을 연 다음 아래 그림처럼 추가 메뉴를 열고 "원본 보기"를 하면 된다. 그러면 브라우저에서 새로운 창이 열리는데 해당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editor 등으로 저장하면 eml 파일이 된다.
우연히 gmail에서 검색하다가, 내가 지웠다고 생각했던 메일이 검색되는 것을 봤다. 하지만 어느 폴더(라벨)을 지정해놨는지는 찾을 수가 없었는데... 한참을 알아보니 gmail은 inbox 마저도 일종의 label이고, 모든 레이블을 제거하거나 메일 상단의 archive 버튼을 누르면, 해당 메일은 "전체 보관함 (All Mail)"에 보관됨을 알았다. (제일 왼쪽의 버튼이 Archive 버튼이다) 즉 내가 지웠다고 생각한 메일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실제로는 archive된 것이고 (보통의 archive와는 조금 의미가 다른 것 같지만. 보통은 특정 폴더에 archive 되어야 하는데) 삭제된 것이 아니다. 해당 메일을 보고 싶다면, gmail에서 "All Mail"을 선택하면 된다. Label은 구글..
구글토크는 기본적으로 (또는 설정하기 따라) 메신저 대화 내용이 gmail에 저장이 된다. 이 때, chats 이라는 레이블로 저장이 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내가 채팅 중 offline이 되는 경우 등은, 해당 채팅의 내용이 inbox(받은편지함)에 그대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물론 대단히 편리한 기능이다. 놓친 채팅을 gmail에 로긴하면 보여주니까... 그런데 확인된 것이 계속 inbox에 남아 있는 것은 때로는 불편하다. 이 녀석들을 다른 채팅처럼 chats 레이블로 옮기는 방법이 있다. 먼저 해당 채팅 내역을 열어보면 (참고로, 받은편지함에 있는 채팅 내역은 검색창에서 "chat with lable:inbox"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이 때 제목 부분의 (Cha..
Gmail에 가입할 때 아주 사소한 버그가 하나 있다. 먼저 가입시 화면이다. 친절하게 "원하는 로그인 이름"에 예로써 CKim 이 적혀 있다. 그런데, 그대로 CKim 이라고 기입을 해보면 그렇다. 구글 계정은 아이디가 6~30자여야 한다. 그런데 CKim은 4자라서 에러가 난 것이다. 즉 예를 잘 못 들었다. ㅡㅡ; 참고. 구글 영어 화면은 어떨까? 그렇다. 예가 JSmith. 딱 6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