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book
- 티스토리
- Outlook
- 신용카드
- hotmail
- 아웃룩
- 끄적거림
- 독서
- 전자책
- 영화
- 킨들
- Visual Studio
- 독서법
- 리디북스
- 책
- 마인드맵
- e-book
- Windows Search
- 크롬
- Windows Live
- 웹2.0
- 리디 페이퍼
- 한메일
- 메모
- 구글
- MS Office
- 핫메일
- YES24
- 샘
- Today
- 46
- Total
- 1,101,896
목록rss (5)
컴사랑의 이런 저런 이야기
흑 이럴수가, 예전에 fastladder도 종료를 하더니, 이젠 구글리더도 서비스를 접는가 보다. ㅠㅠ이젠 RSS를 어디서 읽나...구글리더가 참 편하고 좋았는데,요즘은 많은 RSS reader 서비스가 문을 닫고 있어서 정말 아쉽다.
컴사는 업무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RSS를 많이 쓴다.최신 정보가 알아서 자동으로 오니 정말 편하고 좋다. (메일링 리스트로도 받을수도 있겠지만 컴사는 이메일이 쌓이는 것은 좀 싫어한다 ㅡㅡ;)모든 정보가 다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RSS당 일주일에 한건 정도의 괜찮은 정보는 생긴다.개인적으로 한RSS(hanrss)를 자주 애용하는편인데 몇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한RSS를 이용함에 있어서 가장 아쉬운 점은 각 RSS당 저장되는 글 수가 100개..
컴사가 굉장히 고민을 많이 하다가 피드버너를 사용하기로 하였다.먼저, 피드버너가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만. 피드버너는 RSS 트래픽을 분산 시킬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여러 명의 RSS 구독자들이 내 사이트에서 직접 받아가는 대신 오직 피드버너만 나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다른 RSS 구독자는 피드 버너를 통해서 접속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접속자에 대한 통계나 약간의 정보도 얻을 수 있다. 피드 버너는 많은 장점이 있는데도 불고하고 컴사가 망설..
RSS리더라고 아시는가? Aggregator라고도 불리는데, 여러 블로그나 위키, 게시판 등에서 제공하는 RSS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프로그램이다. (뭐 실제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도록 만드는 단점도 있다. ^^) 요즘 컴사는 웹RSS 리더에 관심이 많다. (사실 RSS리더 자체에 관심이 있는데, 잠시 웹쪽에 중점을 두고 있다) 클라이언트용 RSS 리더로 fish를 쓰고 있지만, 다른 장소에서 인터넷을 쓰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이..
컴사는 그동안 RSS 리더로 위즈캣을 써왔었다. 위즈캣은 RSS 이외에도 멀티탭 브라우저, 웹메일 클라이언트, 뉴스 리더, RSS리더 등 정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결정적으로 feedburner의 것을 읽어오지 못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fish로 바꾸었다. 어쨌거나 가장 불편했던 것이 해결되어서 괜찮긴 한데, RSS 주소 옮기는 것도 일이군. 이런 것도 공통적인 포맷으로 export/import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혹시 있는지..